사례관리기능
사례관리는 지역 내 어려움에 처해 지원이 필요한 지역주민에게 본인의 강점을 찾아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고, 이웃과 지역사회 내 다양한 자원들을 개발·연계·강화함으로써 지역사회 보호체계를 구축하여 지역주민 스스로가 안정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.
사례관리 절차 [사례발굴]

사례개입
사례관리를 5유형으로 구별하여 단계적 사례관리모형 적용한 사례개입실행
- | 분류 | 내용 |
---|---|---|
사례 관리 유형 |
||
① 안부확인형 (고위험군형) |
||
대상자 특성 독거/1인세대 가구, 알코올중독과 정신장애로 주기적인 안부확인이 필요한 세대 |
||
주요서비스 전략 고위험군 사회적안전망 구축사업 ‘희망더하기(주1회 이상 유선상담)’, 서비스연계 |
||
재사정 주기 : 1년 | ||
② 단순형 (기본형) |
||
대상자 특성 기존 내부자원 통해 욕구충족 가능한 사례 ① 아동청소년세대 중 기본역량은 있으나 소득부족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세대 ② 노인·장애인세대 중 방문서비스를 받고 있으나 모니터링점검이 필요한 세대 |
||
주요서비스 전략 내부자원 연결을 통한 사회서비스 지원, 모니터링 상담 |
||
재사정 주기 : 1년 | ||
③ 일반형 (연계형) |
||
대상자 특성 기존 내·외부자원 통해 욕구충족 가능한 사례 ① 정보부족으로 다양한 사회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세대 ② 우울증, ADL 척도 검사 위험군 등 복지향상 및 다양한 환경과의 관계성 회복이 필요한 세대 ③ 복지사각지대 가구로 개입이 시급히 필요한 자 |
||
주요서비스 전략 내·외부자원 연결을 통한 사회서비스 지원, 모니터링 상담 |
||
재사정 주기 : 1년 | ||
④ 집중형 (통합형) 사례관리 |
||
대상자 특성 ① 기존 사회서비스만으로 부족하여 지역사회가 그 당사자 및 가족을 위해 새로운 서비스 마련 또는 제공 필요 세대 ② 타 사례관리 유형에서 통합적인 사례관리가 필요한 세대 |
||
주요서비스 전략 내·외부자원 연결을 통한 사회서비스 지원, 모니터링 상담, 서비스연계 및 조정 |
||
재사정 주기 : 6개월에 1회 | ||
⑤ 긴급형 (위기형) |
||
대상자 특성 생계·주거·긴급 및 위기가정으로 판정된 대상자 |
||
주요서비스 전략 위기개입, 서비스연계 및 조정 |
||
재사정 주기 긴급지원 직후, 연속지원이 필요시 재사정 |
서비스연계
사례개입에 필요한 지역 내 민간 및 공공의 가용자원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제공 및 연계·의뢰
담당자
전서현, 정지연 ☎ 063)462-7260, 471-7266

